창녕성씨인물가문을 빛낸 선조(성현)
가문을 빛낸 선조(성현)

 

성현(成俔)
1439(세종 21)~ 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으로 자는 경숙(磬叔)이고 호는 용재·허백당(虛白堂)·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이고, 시호는 문대(文戴). 부친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이다. 1462년(세조 8) 식년문과에, 1466년 발영시에 급제,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예종 즉위) 예문관 수찬(修撰)을 지냈다. 형 임(任)을 따라 명나라에 가는 도중 기행시를 지어 <관광록(觀光錄)>을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1476년 문과중시에 급제해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때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1488년 평안도 관찰사를 지내고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때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 해 유자광 등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했으며 관상감 등의 중요성을 역설해 격상시켰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한성부판윤을 거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여말선초의 정치사·문화사에서 많은 인물을 배출한 명문의 후예로 비교적 평탄한 벼슬생활을 했으나 공신의 책봉에서는 빠지는 등 정치의 실권과는 거리가 있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가 일어나 부관참시 당했다.

왕명에 따라 유자광 등과 <쌍화점(雙花店)> 등 고려가사(高麗歌詞)를 바로잡았으며 글씨를 잘 썼다. 그의 시론의 특징은 이규보와 서거정의 기론(氣論)을 계승·발전시키는 한편 다양한 미의식의 구현을 주장한 점이다. 또한 사회적 효용을 중시하는 각도에서 정치적 득실에 대한 풍간(諷諫)의 작용을 강조했는데 이것은 그의 애민시 계열 작품의 이론적 토대를 이루었다.

그의 작품세계는 매우 다양하다. 형식적 측면에 있어서 고시·율시·악부·사부 등의 양식을 고루 창작했다. 주제 면에서도 사회 현실에 대한 명확한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관리나 승려 등의 부패와 횡포를 비난하고, 그들로 인해 고통 받는 백성들의 실상을 묘사했다. 우리나라의 풍속을 소재로 한 국속시(國俗詩) 계열의 작품을 썼으며, 명나라 여행 중에 쓴 시를 모아 엮은 〈관광록 觀光錄〉은 그의 이름을 중국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일상의 모든 속박에서 벗어나 도가적 초월을 지향하는 시를 남기기도 했는데, 자연에서의 즐거움과 한적한 심경이 잘 나타나 있다.

문장, 시, 그림, 인물, 역사적 사건 등을 다룬 잡록 형식의 문집 <용재총화>는 조선 전기의 정치·사회·제도·문화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뒤에 신원이 회복되고,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서거정으로 대표되는 조선 초기의 관각문학을 계승하면서 민간의 풍속을 읊거나 농민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노래하는 등 새로운 발전을 모색했다. 《허백당집(虛白堂集)》 《풍아록(風雅錄)》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 《주의패설(奏議稗說)》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서가 있다. 형인 성임(成任)과 성간(成侃) 역시 시를 잘 썼는데, 그 두 사람은 성현의 문학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