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성씨인물가문을 빛낸 선조(성승)
가문을 빛낸 선조(성승)

 

성승(成勝)
?∼1456(세조 2).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호는 적곡(赤谷). 사육신의 한 사람인 삼문(三問)의 부친이다. 무과에 급제해 1440년(세종 22)에 경상도 병마절제사를 거쳐, 1446년에 중추원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51년(문종 1)에 정조사(正朝使) 부사로 또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1453년(단종 1)에 의주목사가 되고, 1455년에 동지중추원사를 거쳐, 도총관이 되었다.

그해 세조가 어린 조카인 단종을 위협하여 선위를 받자, 그는 말을 달려 집으로 돌아와 통곡을 하면서 방문을 닫고 나오지 않았다. 그로부터 병을 핑계로 조정에 나가지 않으면서 그의 아들인 삼문을 비롯하여, 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김질 등 집현전학사들과 유응부·박쟁 등의 무신을 포섭해 은밀히 추진하는 단종복위운동을 배후에서 조종했다. 세조가 그를 달래기 위해 벼슬을 지중추원사로 높였으나 조정에 나가지 않았다.

그 뒤 기회를 엿보던 중 1456년(세조 2) 6월 1일 세조가 상왕인 단종과 함께 명나라 사신을 위해 창덕궁에서 큰 잔치를 여는 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동지중추원사인 유응부와 당상 무신인 박쟁과 함께, 왕의 뒤에 운검(雲劒)으로 섰다가 그 자리에서 세조를 제거하고 단종을 복위하기로 계획했다.

그러나 그날 아침에 세조가 잔치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을 폐지하라고 명을 내렸으므로 그날의 거사는 중지되고, 뒷날 임금이 곡식의 씨를 뿌리는 것을 관람하는 행사인 관가 때에 다시 거사하기로 했다. 거사가 뒤로 미뤄지자 함께 모의했던 김질이 배반해 세조에게 밀고했다. 그 결과 아들 삼문을 비롯한 다른 모의자들과 함께 잡혀가서 군기감 앞에서 능지처사 되었다. 이때 아들 삼문·삼빙(三聘)·삼고(三顧)·삼성(三省)과 손자 셋이 모두 죽음을 당했으니 이로 인해 후사는 끊겼다.

그 뒤 1784년(정조 8)에 판서 엄숙의 상소에 의해 신원되고, 좌찬성에 증직되었다. 오늘날 그에 대한 상세한 행장이나 전기 등이 없음은 당시 그의 혈족이 몰살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두 번이나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문명 높은 성삼문의 아버지였음을 생각할 때, 그는 문무겸비의 재상이었으리라고 짐작된다.

묘는 홍주(洪州) 노은동(魯恩洞)에 있는데, 일설에는 노량진 사육신 묘역 안에 일찍이 ‘성씨의 묘’라고 쓴 작은 비석이 세워진 두 개의 묘가 있어, 한기는 그의 묘이고 다른 한기는 성삼문의 묘라는 구전이 있었으나 지금은 성삼문의 묘밖에 없다. 장릉(단종릉) 충신단에 배향되고, 동학사 숙모전에 제향 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