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성씨인물가문의 근현대인물(성낙훈)
가문의 근현대인물(성낙훈)
성낙훈(成樂熏)
1911∼1977. 한학자 및 동양철학자로 호적명은 경조(庚祚)이고, 자는 자목(子沐) 호는 방은(放隱)이다. 경상남도 함안 출신으로 아버지 만영(晩永)과 어머니 재령 이씨의 맏아들이다. 한학을 독학해 동양의 문학·사학·경학·철학에 해박한 지식을 가졌으며, 특히 전고(典故)에 있어서 당대의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그리고 유교·불교·도교 철학에 정통했으며, 불교철학에 더욱 심취했다. 

1926년에 일본·만주 등지를 일주하고 돌아와 1928년 경주 안씨 춘화의 둘째딸과 결혼했다. 1929년 금강산에 입산해 불교경전을 공부했으며, 1930년에는 신간회에 가입해 민족운동에 참여했다. 1947년 서울대학교 중문과 조교에 임용되었고, 고려대학교·성균관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에 강사로 출강했다. 1952년에 전북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로 부임했고, 당시 6·25사변으로 부산에 피난했던 성균관대학교의 동양철학과 조교수에 겸임되어 전주지역에 있던 전시연합대학의 학생을 지도했다. 

1953년 경북대학교 철학과 전임강사·조교수를 거쳐 1964년에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옮겼다가 1969년에 사직했다. 경북대학교 40년사에 “선생의 강의는 무소불통의 해박한 지식으로 말미암아 나날이 그 인기를 높여갔다.”라고 기술된 것처럼 학교의 강의에서도 명성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정통한 한문에 대한 지식으로 집에 찾아와 한문·중국사·철학의 원전을 배우려는 제자들이 모여들었고, 그들의 교육에 대단히 열성적이었다. 

1969년에는 동방고전연구원을 설립해 많은 제자들에게 한문을 가르쳤다. 또한 이무렵 근대화의 물결에 한문학에 대한 학교교육이 소홀하게 되고, 한학자가 점차 줄어드는 시대상을 간파하고 고전국역사업을 제창해 민족문화추진회를 발족시켰으며, 이를 육성하는 데에 혼신의 노력을 경주했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한국당쟁사 韓國黨爭史》·《한국유교사》·《한국유교사상사》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원효 스님의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疏》 등이 있고 교열한 업적도 많다. 고전국역의 기반을 구축한 공로가 인정되어 1974년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銀冠文化勳章)을 받았다. 1977년 1월 1일 죽었다. 1979년 문하생들이 그의 유고를 모아 《한국사상논고 韓國思想論稿》를 발간했고, 광주공원에 있는 묘소에 추모비를 건립했다.